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2025년 건강보험료 연봉표입니다. 매년 4월마다 건강보험료가 조정되는데, 많은 분들이 자신의 연봉에 따른 정확한 건강보험료를 모르고 계시는 경우가 많아요. 건강보험료는 기준 소득월액의 7.09%로 계산되며, 근로자는 이 중 절반인 3.545%를 부담하게 됩니다. 또한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12.81%가 추가로 부과되죠. 이 글을 통해 연봉별 정확한 건강보험료를 확인하고 실수령액까지 한번에 파악해보세요.
2025년 건강보험료율
2025년 현재 건강보험료율은 기준 소득월액의 7.09%입니다. 이 중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절반씩 부담하므로, 근로자는 3.545%를 부담하게 됩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12.81%가 추가로 부과되어, 실제로는 건강보험료보다 조금 더 많은 금액을 납부하게 됩니다.
건강보험료 상한액은 월 8,481,420원(근로자 사업주 각각 4,240,710원)이며, 하한액은 월 19,780원(근로자 사업주 각각 9,890원)입니다.
연봉별 건강보험료 상세표
다음은 2025년 주요 연봉구간별 건강보험료 및 실수령액 정보입니다:
연봉 3,000만원: 건강보험 88,620원, 장기요양 11,470원, 월 실수령액 225만원
연봉 4,000만원: 건강보험 118,160원, 장기요양 15,300원, 월 실수령액 290만원
연봉 5,000만원: 건강보험 147,700원, 장기요양 19,120원, 월 실수령액 355만원
연봉 6,000만원: 건강보험 177,240원, 장기요양 22,940원, 월 실수령액 425만원
더 자세한 연봉별 실수령액표는 아래 전문 계산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건강보험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월급 500만원인 경우, 건강보험료는 177,250원, 장기요양보험료는 22,705원으로 총 199,955원을 납부하게 됩니다.
4대보험료 전체 부담액
건강보험료 외에도 다른 4대보험료까지 포함한 전체 부담액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기준 소득월액의 4.5% (상한 486만원)
고용보험: 급여의 0.9%
소득세: 누진세율 적용 (연봉이 높을수록 증가)
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
4대보험료를 모두 합하면 연봉의 약 10-15% 정도가 공제되며, 소득세까지 포함하면 총 공제액이 상당히 커집니다.
건강보험료는 언제 납부하나요?
건강보험료는 매월 급여에서 자동으로 공제되며, 연말정산 시 정산됩니다.
건강보험료 상한액이 있나요?
네, 2025년 기준 월 상한액은 4,240,710원입니다. 아무리 연봉이 높아도 이 금액 이상은 부담하지 않습니다.
장기요양보험료는 누가 내나요?
40세 이상의 국민건강보험 가입자가 납부하며, 건강보험료의 12.81%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건강보험료율은 매년 바뀌나요?
네, 보통 매년 조정되며 2025년 현재는 7.09%입니다. 정부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프리랜서도 건강보험료를 내나요?
네, 지역가입자로 분류되어 소득에 따라 건강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건강보험료 하한액은 얼마인가요?
2025년 기준 월 최소 9,890원을 납부해야 합니다.
연봉이 오르면 건강보험료도 바로 오르나요?
급여 변동 시 즉시 반영되며, 매년 4월에는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재조정됩니다.
건강보험료 계산 시 상여금도 포함되나요?
네,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상여금은 기준 소득월액에 포함됩니다.
부양가족이 있으면 건강보험료가 달라지나요?
부양가족 수는 건강보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소득세 계산 시 소득공제로 반영됩니다.
퇴직 후 건강보험료는 어떻게 되나요?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변경되며, 소득이 없다면 최소 보험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결론
2025년 건강보험료는 기준 소득월액의 3.545%를 부담하며, 여기에 장기요양보험료까지 추가됩니다. 정확한 실수령액을 파악하려면 4대보험료와 소득세를 모두 고려해야 하죠. 특히 연봉협상 시에는 세전 연봉뿐만 아니라 실제 받을 수 있는 금액까지 꼼꼼히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제공한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더욱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요. 그럼 여기까지 건강보험료 연봉표를 알아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