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전세보증보험 보험료 계산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세 계약을 하면서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전세보증보험료가 얼마나 나올지일 텐데요. 보증금액과 보증기관에 따라 보험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미리 계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2025년 기준으로 각 보증기관별 보증료율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비교해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전세보증보험료 계산 방법과 실제 예시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계산 공식
전세보증보험료 계산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보증금액 × 보증료율 × 계약기간(년)이 기본 공식이에요. 예를 들어 전세보증금이 2억원이고, 보증료율이 0.15%, 계약기간이 2년이라면 2억 × 0.15% × 2 = 60만원이 됩니다.
월 보험료로 환산하면 60만원을 24개월로 나눈 2만 5천원 정도가 매월 납부할 금액이 되죠. 이 계산법은 HUG, SGI, HF 모든 보증기관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보증기관별 보증료율 비교
2025년 기준 주요 보증기관별 보증료율을 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보증기관 | 아파트 | 기타주택 | 특징 |
---|---|---|---|
HUG | 0.115~0.146% | 0.122~0.146% | 부채비율에 따라 차등 |
SGI | 0.138% | 0.208% | 주택유형별 고정요율 |
HF | 0.115% | 0.115% | 상대적으로 저렴 |
HUG(주택도시보증공사)는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관으로 전세보증금액과 부채비율에 따라 보증료율이 달라집니다. 부채비율이 80% 이하일 때 더 저렴한 요율을 적용받을 수 있어요.
SGI서울보증은 아파트와 기타주택(오피스텔, 빌라 등)의 요율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습니다. 아파트는 연 0.138%, 기타주택은 0.208%로 차이가 꽤 큽니다.
실제 계산 예시
실제 사례를 통해 보험료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사례 1) 전세금 8천만원, 아파트, 2년 계약
- HUG: 8천만원 × 0.115% × 2년 = 18만 4천원 (월 약 7,667원)
- SGI: 8천만원 × 0.138% × 2년 = 22만 800원 (월 약 9,200원)
- HF: 8천만원 × 0.115% × 2년 = 18만 4천원 (월 약 7,667원)
사례 2) 전세금 2억원, 오피스텔, 2년 계약
- HUG: 2억원 × 0.146% × 2년 = 58만 4천원 (월 약 2만 4,333원)
- SGI: 2억원 × 0.208% × 2년 = 83만 2천원 (월 약 3만 4,667원)
- HF: 2억원 × 0.115% × 2년 = 46만원 (월 약 1만 9,167원)
보험료 할인 혜택
각 보증기관에서는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UG의 경우 저소득층, 다자녀, 장애인, 고령자 등 사회배려계층은 최대 60%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모범납세자, 전자계약, 비대면보증, 일시납 대상자는 최대 10%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SGI는 LTV(담보인정비율)를 기준으로 보증료 할인을 제공합니다. 주택가격 대비 전세보증금 비율이 낮을수록 더 많은 할인을 받을 수 있어요.
온라인 계산기 활용법
정확한 보험료를 미리 알아보려면 각 보증기관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HUG, SGI, HF 모두 공식 홈페이지에서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어요.
계산기에 전세보증금, 주택유형, 계약기간, 부채비율 등을 입력하면 예상 보험료가 바로 나옵니다. 여러 기관의 계산기를 모두 이용해서 비교해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자주 묻는 질문들
Q: 전세보증보험료는 한 번에 납부해야 하나요?
A: 대부분의 보증기관에서는 일시납을 기본으로 하지만, 분할납부도 가능합니다. 다만 분할납부 시 수수료가 추가될 수 있어요.
Q: 계약을 중도 해지하면 보험료가 환급되나요?
A: 네, 계약 기간이 남아있다면 일정 비율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각 보증기관별로 환급 기준이 조금씩 다르니 확인해보세요.
Q: 보증료율이 매년 바뀌나요?
A: 보증료율은 시장 상황과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가입 전에 최신 요율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Q: 신용등급이 낮으면 보험료가 더 비싸지나요?
A: 일부 보증기관에서는 신용등급에 따라 보증료를 차등 적용하기도 합니다. 신용등급이 높을수록 할인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요.
Q: 어느 보증기관이 가장 저렴한가요?
A: 주택유형과 개인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HF가 전반적으로 저렴하지만, 할인 혜택을 고려하면 HUG가 더 유리할 수도 있어요.
Q: 보증한도는 어떻게 되나요?
A: 일반적으로 전세보증금의 90% 또는 일정 금액까지 보증됩니다. 보증기관별로 한도가 다르니 확인이 필요해요.
Q: 보험료 외에 추가 비용이 있나요?
A: 인지세, 등기비용 등의 부대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몇만원 수준이지만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아요.
Q: 온라인으로 가입하면 할인이 있나요?
A: 대부분의 보증기관에서 온라인 가입 시 수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방문 신청보다 저렴하게 가입할 수 있어요.
Q: 보증보험 가입 시 집주인 동의가 필요한가요?
A: 2018년 이후로는 집주인 동의 없이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임차인 단독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
Q: 계약 연장 시 보험료를 다시 계산하나요?
A: 계약 연장 시에는 연장되는 기간에 대해서만 추가 보험료를 납부하면 됩니다. 기존 납부분은 그대로 유지되어요.
결론
전세보증보험료 계산은 보증금액, 보증료율, 계약기간 세 가지 요소만 알면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보증기관별로 요율과 할인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곳을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특히 본인이 할인 대상자에 해당하는지 확인해보면 보험료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계산기를 적극 활용해서 미리 예상 비용을 알아보고, 가장 유리한 조건의 보증기관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여기까지 전세보증보험료 계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