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2025년 4대 보험료 요율입니다. 직장인이라면 매달 월급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4대보험료, 정확히 얼마나 내고 있는지 궁금하셨을 텐데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된 4대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함께 부담하는 사회보험입니다. 2025년에는 대부분의 보험료율이 전년도와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어요. 하지만 세부적인 부담 구조와 상한액에는 일부 변경사항이 있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해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년 4대 보험료 요율표
2025년 적용되는 4대보험료 요율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각 보험별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부담하는 비율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해보세요.
보험 구분 | 전체 요율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비고 |
---|---|---|---|---|
국민연금 | 9.0% | 4.5% | 4.5% | 기준소득월액 상·하한 적용 |
건강보험 | 7.09% | 3.545% | 3.545% | 장기요양보험료 별도 |
장기요양보험 | 0.9182% | 0.4591% | 0.4591% | 건강보험료의 12.81% |
고용보험 | 1.8% + α | 0.9% | 0.9% + 고용안정 | 사업장 규모별 차등 |
산재보험 | 업종별 | 0% | 전액 부담 | 사업주 100% 부담 |
월급별 4대보험료 실제 부담액
월급 300만원을 기준으로 실제로 얼마의 보험료를 내야 하는지 계산해보겠습니다. 근로자가 실제로 부담하는 금액을 중심으로 살펴보세요.
보험 구분 | 월 보험료 (근로자) | 월 보험료 (사업주) | 합계 |
---|---|---|---|
국민연금 | 67,500원 | 67,500원 | 135,000원 |
건강보험 | 53,175원 | 53,175원 | 106,350원 |
장기요양보험 | 6,800원 | 6,800원 | 13,600원 |
고용보험 | 13,500원 | 13,500원 | 27,000원 |
산재보험 | 0원 | 24,750원 | 24,750원 |
총 부담액 | 140,975원 | 165,725원 | 306,700원 |
고용보험 고용안정사업 부담률
고용보험의 경우 근로자는 0.9%를 부담하지만, 사업주는 추가로 고용안정사업비를 부담해야 합니다. 사업장 규모에 따라 부담률이 달라지니 확인해보세요.
사업장 규모 | 고용안정사업 부담률 |
---|---|
150인 미만 기업 | 0.25% |
150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 0.45% |
150인 이상 1,000인 미만 기업 | 0.65% |
1,000인 이상 기업, 국가·지방자치단체 | 0.85% |
2025년 변경사항 및 주의사항
2025년 4대보험료 요율은 대부분 전년도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하지만 건강보험 소득 상한액이 일부 조정되었어요. 월 소득 상한액이 119,625,106원에서 127,056,00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2025년 중 요율 인상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현재까지는 기존 9% 요율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산재보험료는 업종별로 상이하며, 일반 사무직의 경우 대략 1.65% 수준으로 책정됩니다.
Q&A
Q: 4대보험료는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 2025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되는 요율입니다.
Q: 국민연금 요율이 인상된다던데 언제부터인가요?
A: 정부에서 인상을 발표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시행일은 공지되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기존 9% 요율이 적용됩니다.
Q: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A: 건강보험료의 12.81%가 장기요양보험료로 추가 부과됩니다. 별도로 계산하여 함께 납부합니다.
Q: 산재보험료는 왜 근로자가 부담하지 않나요?
A: 산재보험은 업무상 재해를 보장하는 보험으로 사업주가 100% 부담하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Q: 월급이 적으면 4대보험료도 적게 내나요?
A: 네, 월급에 비례하여 보험료가 계산됩니다. 다만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최저 기준액이 있습니다.
Q: 4대보험료 상한액이 있나요?
A: 네, 국민연금은 기준소득월액 상한 655만원, 건강보험은 보수월액 상한 약 1,271만원이 적용됩니다.
Q: 프리랜서도 4대보험에 가입해야 하나요?
A: 프리랜서는 지역가입자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에 가입하며,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선택적 가입입니다.
Q: 회사에서 4대보험료를 잘못 계산했다면 어떻게 하나요?
A: 급여명세서를 확인하고 인사담당자에게 문의하시거나, 해당 보험공단에 직접 확인 요청하시면 됩니다.
Q: 4대보험료는 세금 공제 대상인가요?
A: 네, 근로자가 부담한 4대보험료는 소득공제 항목에 포함되어 연말정산 때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Q: 고용보험 실업급여는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A: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했다면 실직 후 실업급여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발적 퇴사의 경우 3개월 후부터 지급됩니다.
Q: 4대보험료 계산기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공단,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공식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2025년 4대 보험료 요율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직장인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정보이니 급여명세서를 받을 때마다 한 번씩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국민연금 요율 인상 가능성과 건강보험 상한액 변경사항은 꼭 기억해두세요. 정확한 보험료 계산을 통해 월 급여 관리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여기까지 4대 보험료 요율을 알아봤습니다.



